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농경지나 목축지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

환경

by slugger20 2021. 7. 16. 12:53

본문

반응형

농장 유출수는 가축 사육장에서 나온 동물의 배설물과 비료의 인과 질소와 같은 영양물질에 오염되어 있는데 이들 성분이 호수와 시내를 부영양화시키는 주된 요인이 된다. 

(1) 영양물질 질산염은 강력한 독성 때문에 특별한 관심의 대상이다. 질산염은 물에 대한 용 해도가 높으므로 토양에서 쉽게 누출되어 땅 윗물과 지하수를 오염시킨다. 토양에서 질산염은 아질산염으로 환원되는데 특히 아질산염이 식수를 통하여 인체에 들어오면 어린이의 경우 매트 헤모글로빈 혈증과 고혈압을 일으킬 수도 있다. 아질산염과 몇 종류의 살충제는 화학반응을 통하여 암과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나이트로 사민류를 형성하기도 한다. | 질산염과는 달리 인은 제일 먼저 토양을 부식시킨다. 또한 ortho phosphate를 경작지에 살포하면 곧바로 불용성의 형태로 변하여 토양 입자에 쉽게 흡착되고 결국에는 침전물 내에 퇴적된다. 

 

(2) 농약 농약은 비록 전체 수질 오염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을지라도 사용하는 데 있어 방심해서는 안 된다. 농약은(살충제나 제초제 혹은 살균제이든 간에) 화학적인 특성과 사용 목적에서 보면 독약으로 분류된다. 심지어 사용되는 농약의 양이 흙의 양과 비교할 때 보잘것없는 양일지라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하다. 1962 년 아래로 미국의 농약 사용량은 2배 이상 증가함에 따라 현재 거의 모든 주의 지하수가 농약 오염으로부터 위협을 받고 있다. 
EPA는 지하수를 농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이러한 정 마시는 물 중 농약 농도가 음용수안전관리법(SDWA : safe drink water act) 
의 최대 허용치에 근접하는 지역에서는 농약 사용을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 모 만약 오염이 아주 심하면 전면적으로 사용을 금지한다는 내용도 담고 있다. 
1 환경 내 잔류성 : 농약 사용을 허용하는 데 있어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은 선대지 도성, 환경 내 잔류성, 생물학적 농축설 그리고 유동성 등에 중점을 두고 이서 환경 내의 잔류성이 가장 결정적인 요소가 된다. 농약은 잔류성을 
것으로 대개 세 그룹으로 나눈다. 첫째는 2~5년 이내에 75~100%까지 분다  그룹이며 둘째는 1~18개월 이내에 분해되는 반 잔류성 그룹 세 했니 1~12주 이내에 분해되는 비 잔류성 그룹 등이 있다. 
농약의 분해는 주로 박테리아, 광화학적 반응, 화학적 반응 등에 의해 일어난다.  E양 생물이나 수서 생물에 축적된 농약은 먹이 사슬을 통하여 더욱 확대되며, 먹이 사슬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흡착된 농약은 강이나 호수 바다 침전물 속에 남아 식물성 플랑크톤의 먹이가 된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먹이 사슬을 따라 더 높은 단계에 있는 생물의 먹이가 된다. 이처럼 농약이 먹이 사슬의 각 단계를 거칠 때마다 생물 농축 정도가 확대된다. 일례로 식품 중의 PCBS 농도는 표 9.4와 같다. 비록 PCBs가 농약은 아니지만 물리 화학적 특성이 염소화된 탄화수소계 농약과 공통점이 많다. 
고농도로 수계에 들어간 농약은 물고기에게 아주 해롭다. Rachel Carson 같은그자는 물고기의 집단 폐사의 원인이 수로의 농약 살포 혹은 항공 방제라고 주자하고 있다. 1950년 여름 캐나다의 New Brunswick의 침엽수림에 기생하는 눈 
법궤를 방제하고자 DDT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농약이 눈 벌레뿐만 아니라 어린 연어와 송어의 먹이가 되는 곤충까지도 죽이게 되었다. 특히 숲을 가로질러 흐르는 시내와 강의 DDT 농도는 독성을 나타내는 농도에까지 이르렀다. 그 결과 많은 종류의 물고기가 DDT의 독성과 먹이의 부족으로 전멸되었다. | 또 다른 예는 Texas Austin 부근에서 발생한 것으로 농약을 제조하는 공장에서 빗물 배수구를 통하여 toxaphene과 chlordane을 다량으로 흘려보냈다. Col Ocado 강으로 흘러 들어간 이들 농약은 배출 지점에서 무려 200마일이나 떨어진 하류에 사는 물고기를 죽게 하였다. 
농약 사용의 또 다른 문제점은 해충들의 농약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 이는 저항성이 생긴 해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점점 더 많은 양의 농약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9.5는 주요한 농약 종류, 사용 용도, 물에 대한 용해도, 토양에서의 이동 현 
태 등을 표시하였다. 몇 가지 대표적 농약의 구조는 (그림 9.1~9.4)에 표시하였다. 
3 사용의 규제 : 1978년 이후 미국에서는 잔류성이 매우 큰 몇 가지 농약 (DDT, dieldrin, chlordane, toxaphene 등)은 사용을 금지하였으며 그 외의 농약도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이런 조치에도 불구하고 농약의 잔류 성분이 아직 환경 내에 존재하고 있다. 이것은 농약 사용은 금지하였지만 수출을 규제할 
지 않았기 때문에 금지된 농약을 아직 사용하고 있는 멕시코나 중남미에서 
미국 내로 대기를 통해 흘러들어오기 때문이다. 
| 미국 내에서 사용 승인을 받지 않은 농약의 수출을 금지하거나 억제하기 위한 |항을 1990년 미국 상·하원에서 농경지 법안에 넣어 상정하였으나 부시 행정부에 | 해서 부결되고 말았다. 그 후 소위 일련의 독극물 예방 헌장으로 불리는 법안이 다시 1991년 Vermont의 Sen, Patrick J. Leafy에 의해 상정되었다. 이 법안은 “국 내에서 소비되고 있는 식품에서 발견되지 않는 농약이나 식품에 사용할 수 없는 농약의 수출은 금한다”라는 것이다. 

 4 인간 건강에 미치는 영향 : Ethylenbis(dithiocarbamate)금속 유도체들 가장 
대표적인 것이 magnet(망간 유도체)과 zines(아연 유도체)는 발암성으로 인하 
여 특히 주목을 받고 있다. 비록 그 자체가 발암 물질은 아니지만 대사 산물인 
(ethylene thiourea는 발암 제로 잘 알려져 있다. Ethylene thiourea는 ethylene bis (dithiocarbamete)를 농약으로 사용한 토양에서 자란 채소들에서 검출된다. 
Phenoxyacetic acid의 염소 유도체인 2-D와 2-T(" 오렌지 색소” : 고엽제) 또한 주목할 만하다. 이들 화합물은 기형 유발성을 유발하는데 그 이유는 제조 시 부산물로서 혼입 되는 불순물들에 의한 작용으로서 특히 2-tetrachlorodioxin 독 
성이 가장 크다. 
과일이나 채소 내 농약 잔류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역학조사 자료로 부족하기 때문에 평가가 어렵지만 잔류성 농약은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이야기한다고 인식되고 이다. 잔류성 농약 문제에 대한 학계의 의견 역시 양분되어 있 
는 데 어떤 학자들은 수많은 음식물에는 자연적으로 발암성 물질이나 발암 전구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고 음식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추가로 형성되는 발암물 
질도 있으므로 잔류 농약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그런데도 1985년 캘리포니아의 한 기록을 살펴보면 많은 사람이 aldicarb에 오염된 수박을 먹고 질병이 발생한 사례가 있었다. 
5 대체 농업의 개발 : 전통적 농업 방식으로 인한 잔류농약과 수질오염이 문제가 되자, 사람들은 대체 농업이라는 새로운 식량 생산 방식을 도입하였다. 대체농업의 목적은 비료와 농약에 의존하는 것으로부터 탈피함으로써 토양이 침식돼 
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대체 농업의 기술로서는 돌려짓기, 농작물과 가축의 다양화, 질소를 고정하는 콩과 식물의 이용, 생물을 이용한 해충 방제, 새로운 경작 방법의 개발 그리고 토양 침식을 예방하기 위해 수확 후에 대체 작물 심기 등이 있다. 비록 현재는 대체 농업이 실험 단계에 있지만 오염되지 않은 농작물을 지속해서 생산하는 수단이 될 것이다. 

산업체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 폐기물은 철강 공장의 찌꺼기를 포함하여 화학 공장, 광산 그리고 제지 나오는 독성물질 등 매우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공 D 오염물질, 발전소(재래식이든 원자력이든)와 제강 공장의 빙축열, 광산 | H를 변화시키는 오염물질 등도 이에 포함된다. 
서는 처음으로 독성 물질에 대하여 응급조치와 알 권리를 규정한 헌장 | icy planning and right to know act)에 따라 독성물질 배출 목록을 배출 목록에 나타난 이러한 수치의 중요성도 부인할 수는 없지만 | 요한 것은 독성물질에 따른 배출비, 독성물질들의 농도, 인간에 대한 노출 | 이 표시되어야만 한다. | 에서 배출되는 독성물질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 문제점은 관련된 화합물이 다양하고 많다는 점이다. 수서 생물과 인간은 독성물질에 직접 노출되거나 | 법적으로 오염된 물고기나 조류를 섭취함으로써 독성이 나타나게 된다. 생 | 한 위해도는 오염물질이 갖는 독성의 정도, 폐기된 양, 수중 생태계에서의 잔류도, 생물농축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잔류성은 수중에서 독성물질이 물 학적 분해에도 대한 증기압의 함수로 표시된다. 매우 휘발성이 강한 물 | 수 중의로 폐기되면 증발하여 대기오염물질이 되기도 한다.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의 건강에 대한 위해성은 독성 자료가 거의 | 로 잘 알려지지 않았다. 국립연구위원회(NRC : national research coup 1984년도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의 79% 정도가 독성에 대하여 거의 알려진 것이 없으며 발암 독성시험, 변이원성 독성 시험 그리고 생식독성시험을 실시한 화합물도 전체의 10% 이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보면 제조 공정의 부산물이나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는 오염물질에 대한 독성은 전혀 아는 것이 없다고 할 수 있다. 

 

(1) 수은 가장 대표적인 수질 오염물질의 하나가 수은이다. 과거에 발생한 대부분의 수은 중독은 호수, 하천, 바닷속으로 무기 수은을 폐기한 결과이다. 무기 수은 역시 독성은 있지만 의해 쉽게 흡수되지 않는다.| 내 강과 근해의 심각한 산업 오염의 몇 가지 예가 보고되었는데 그 중 Galveston만의 몇몇 지역은 중금속 농도가 EPA의 수질 기준을 초과할 | 이것은 산업체에서 버린 폐수와 폐기물 때문이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