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 강 상류에 축전기를 생산하는 General Electric 사의 공장 2곳은 과거 하 | 적 허용량인 30파운드까지 PCBs를 폐기하였다. 폐기된 양의 대부분은 토 | 게 흡착되어 침전물로서 강바닥에 가라앉은 다음 공장 지역에서 이동하여
위치한 댐에 퇴적하였다. 그 후 1973년 낡은 댐을 철거했을 때 혼탁한 침 | 조류와 함께 휩쓸려 내려가 허드슨강 전체가 PCBS로 오염되기도 하였다.
서식하는 물고기에서 검출된 PCBS 농도는 FDA에서 설정한 기준치 훨씬 초과하였다. 따라서 고농도 PCBs에 오염된 허드슨강에서 스포츠용 | 완전히 사라졌고 상업적인 고기잡이 역시 오염 전보다 무려 40%가 감소 연구에 따르면 PCBs는 수중에서 생분해가 일어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잔류하는 특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PCBs의 동물에 대한 급
은 낮지만(Aroclor 1254는 흰쥐에 대한 LD50이 : 250mg/kg~1/kg) | 성은 매우 위험하다. PCBs는 면역 억제작용이 있어 종양을 촉진하거나 칼을 방해하기도 한다.
따라서 PCBs는 조류의 알껍데기 형성에도 영향을 준 SS는 EPA와 국제암연구소에 (IARC :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 의해 발암 물질로 분류되었다. 다이옥신 제지 산업체에서 배출하는 다이옥신에 의한 수질오염의 관심이 고조되고 이 옥신은 모 핵이 환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염소화 정도에 따라 75개 그 분류된다. 이 중에서 TCDD가 가장 독성이 큰 물질이다. 강에 미치는 영향 : 쥐에 있어서 TCDD의 LD5 치는 수컷은 0.022mg/kg, | 0.045mg/kg이다.
그 외에도 연성 조직의 육종, 폐암과도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1976년 7월 10일 이탈리아의 Seveso시 근처에 있는 Givaudan 공장에서 일어난 폭발 사고를 모델로 하여 조사한 다이옥신의 독성에 관한 상반된 연구 결과가 있다. 첫 번째 연구 결과는 다량의 다이옥신에 노출된 인구 중 10년 이내에 사망할 확률은 여러 가지 암 발생으로 인하여 사망률이 상당히 증가했다는 보고서이다. 두 번째 연구 결과는 Georgia조 Atlanta기에 소재한 징병제의 센터의 발표로서 주민들에게서 염소 중독증 및 피부질환 이외에는 어떠한 부작용도 없다는 보고서이다. 그러나 다이옥신이 인간에게 암을 유발할 수 있는지는 폭발 사고 이후 지난 시간이 너무 짧아서 정확하게 결론짓기는 어렵다.
12 발생원 : TCDD는 제지 과정 중 펄프를 염소로써 표백하는 공정인 Kraft 공정에서 발생한다. Vancouver Island의 Crofton에 소재한 그린피스 조사에 의하면 1987년 이래 Crofton 제지 공장 근처의 푸른 왜가리 알이 부화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그 이유는 Crofton 제지 공장에서 배출된 TCDD가 수질을 오염시켰기 때문
인 것으로 생각된다.
물론 TCDD는 제지 공장의 유출수와 찌꺼기 뿐만 아니라 비록 소량이긴 해도 커피 거름종이, 화장지, 종이 타월, 종이 접시, 편지지 등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EPA, 미국 내 종이 연구소, 대기 및 하천 수질 개선을 위한 전국 제지 공장 연합회 등에서도 미국 내서 표백 목적으로 염소를 사용하고 있는 공장 104곳을 대상으로 연구에 착수한 결과 폐기되는 다이옥신의 양이 경제 펄프와 연 재 펄프에서는 6 ppt와 3.5 ppt이고, 찌꺼기와 폐수에서는 17 ppt와 0.024p pt인 것으로 각각 보고하였다. | 다이옥신에 대한 독성평가는 수중에서 침전물과 함께 바닥으로 가라앉는 정도, 생물 농축 가능성, 수서 환경에 대한 영향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현재 EPA에서
는 TCDD에 대한 수질 기준을 0.014p pg(parts per quadrillion)로 제한하고 있다.
(5) 열오염 발전 설비- 재래식 발전 설비나 핵 발전 설비- 와 강철 산업은 냉각수로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다. 따라서 냉각수는 높은 열을 함유하고 있어 강이나 호수에 흘러들게 되면 유입지점의 수온을 높이게 된다.
높아진 수온으로 인하여 수서 생물의 대사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산소 소비 역시 증가하게 된다. 동시에 용존 산소 농도는 수온의 상승과 더불어 감소한다. 따라서 열 오염은 BOD 오염이나 영양물질의 오염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수서 생물 중 어떤 종은 높아진 수온에 적응하지 못하고 사라지기도 하며 또 다른 종은 쉽게 적응하여 겨울에는 유출 지점 주위에 서로 뭉쳐 살기도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열 배출설비가 일시적으로 멈춘다면 대량의 물고기가 온도 차 이에 따른 충격으로 죽게 된다.
▶ 미국의 사례
미국 내 거대 호수들은 국내 땅 윗물의 95%를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20%를 차지하고 있는 막대한 경제적 자원으로 가치가 있다. 이러한 거대 호수들은 방대한 크기로 인하여 수십 년 동안 오염과는 무관하게 생각되었다. 따라서 호수 주변
도시와 공장 등에서 나오는 폐수가 무차별적으로 호수로 흘러 들어갔다.
그 결과 1970년까지 Erie 호수는 경제성 있는 수많은 어종이 사라지거나 혹은 감소하고 호수 주변이 조류로 뒤덮이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1972년 미국과 캐나다 간 양국 호수에 영양물질 폐기와 BOD 유출을 규제함에 따라 수질이 서서해 회복되기 시작하였다.
1 독성물질 : 독성물질에 대한 환경 오염은 여러 지역의 물고기들이 화학물질 (예 : PCBS와 중금속)과 살충제(예 : mired)에 의해 오염된 후에야 비로소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이러한 관심과 더불어 특히 미국과 캐나다는 1978년에 합의한 독성물질에 대한 협정을 1987년에 수정하여 새로운 협정을 조인하였다. 협정의 주된 목적은 호수에 독성물질 폐기를 금하는 것으로 대략 350가지 물질이 규제되었다. 이 중에서 가장 위험한 오염물질은 PCBS, PAH, TCDD, TCDF 그리고 네 가지 살충제 (mired, DDT, dieldrin, toxaphene)로 분류되었다. | 2 물고기 내 축적 : 1988년 2월호 화공 기술 뉴스지 특별 기고에서 “현재 호수의 전반적인 오염 상태는 영양물질의 경우는 양호하고, 질소에 대해서는 악화하여 가고 있으며 독성물질의 경우는 인과 질소의 중간 상태라 할 수 있다.”라고 하였다. 뉴욕 Hyde 공원 내 나이아가라 폭포에 폐기된 화학물질에서 나온 불화 방한 족 화합물의 오염 현을 Oritario 호수 침전물과 토종 물고기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호수 전역에 걸쳐 미량의 화학물질이 빠르게 침전물과 물고기에 특히 오염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물고기에게도 축적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몇몇 심하게 오염된 지역에 서식하는 물고기를 대상으로 피부 종양과 간 종양 발생을 조사한 결과 오염된 바닥 침전물에서 검출되는 다량의 방향족 탄화수소가 종양의 원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물론 종양의 원인이 완전
하게 규명된 것은 아니지만 오염된 수로에서 채취한 침전물에서 나온 유기성 추출물을 실험실에서 물고기와 생쥐를 대상으로 투여한 결과 발암성이 분명하게 나태 났다. 또한 들어 있는 수종의 PAHs를 여러 종의 물고기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마찬가지로 발암성이 확인되었다. | 3 물고기 소비량 : 오늘날 물고기에 관해 전문가들은 수 유모, 임신을 원하거나 임신한 여자, 15세 미만의 아이들은 Michigan, Superior Huron, Dutrario, Ontario 호수 등에서 잡은 송어 중 일정 크기를 넘는 것은 먹지 말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나아가서 아주 큰 고기는 성별과 나이와 관계없이 될 수 있는 대로 먹지 말라고 충고하고 있다.
공장에서 화학물질이 끊임없이 폐기되고 이들 물질에서 나오는 침출수와 같은 비점오염원이 존재하는 한 호수에서 독성물질이 사라지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
▶ 유럽의 사례 수질오염은 유럽에서도 마찬가지로 심각한 문제이다. 독일의 경우 광범위하게 오염된 대표적인 강이 라인강이다. 오염물질은 주로 강 주변 도시에서 나오는 소금, 화학물질, 금속, 기름, 살충제와 공장과 발전소에서 유출되는 하수 등이다.
동유럽의 경우에는 서유럽보다 훨씬 심각하다. 예를 들어 폴란드에서는 Warsaw를 포함하여 Vistula 강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도시의 절반 이상이 폐기물을 그대로 강에 버린다. 또한 강의 많은 지역이 산업 폐기물로 인하여 강물을 공업용 수로 조차 사용이 불가능해졌다. 왜냐하면 강물이 기계를 부식시키기 때문이다.
폴란드 중공업의 중심지인 Silesia 토양도 중금속(아연, 수은, 카드뮴, 납)으로 오염되어 당국은 이 지역에 있는 5개 마을을 이주시켜야 했다. 또한 지역에 | 서는 아예 일정 기간 농사를 금지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이러한 환 |경 파괴는 비단 폴란드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동유럽 대부분의 나라에서도 볼 | 수 있다. 그중에서 가장 오염이 심한 지역은 석탄이 풍부한 산업 지대인 동독의 남서부 지역, 체코슬로바키아의 북부 지역 그리고 폴란드의 남부 지역이 포함된 | 다. 현재 미국의 경우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과 자금을 아끼지 않고 있음
은 물론 공장을 현대적인 석탄 청정 기술을 갖출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
핵에너지와 핵연료의 특성 (0) | 2021.07.17 |
---|---|
폐기물 처리장 관리의 문제점 (0) | 2021.07.16 |
독성물질의 투여방법 (0) | 2021.07.08 |
남성 생식계와 독성발생 (0) | 2021.07.08 |
기체와 증기의 성질 (0) | 2021.07.0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