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는 중요한 천연자원이다. 미국 내 지하수 사용량은 1950년 하루 3,400,000 갤런에서 1980년 8 많이 증가하였다. 특히 1980년도 사용량 중 | 5 농업용수로 사용한 양이며 그 나머지는 공업용수와 마시는 물로 |사용하였다. 또한 절반 정도가 지하수를 마시는 물로 사용하고 | 있어 지하 수질의 보존은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1984년 8월 기술 분석 청 보고서에 따르면 지하수 오염은 미국 내 모든 주에서 일어나고 있으며 여러 종류의 유기물과 무기물이 지하수에서 검출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 중 대다수가 독성과 발암성을 갖고 있으며 그 외에도 수종의 미생물과 방사성 오염물질 등도 발견되고 있다.
지하수 오염의 주범은 비료나 농약에서 나온 질산염과 폐기물을 투기 후 나오는 침출수로서 1976년도 자원 보존 및 재생 법안(RCRA : resource conservation and recovery act)에는 독성 폐기물을 처리한 장소에서 나오는 침출수를 방지할 수 있게 하려고 설계 시 처리장 골격 구조에 관하여 규정하였다. 하지만 1985년 EPA는 19,000개소에서 독성 폐기물이 이미 버려져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들 폐기물 매립지는 관리법이 제정되기 전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주로 상업적 갈 거의 없는 늪지와 자갈층 혹은 폐광 등에 건설되었는데 이들 지역이 침출수가 쉽게 흐를 수 있는 도관 역할을 하므로 매립지로서는 비저에서 보면 현대의 위생 매립지나 독성물질 매립지에서 침출수를 차의료 주로 사용하고 있는 플라스틱과 진흙은 장기적으로 볼 때 그 효과
의로 가치가 거의 없이 대부분이 침출수가 1 적당하다. | 이러한 점에서 단할 목적으로 주로 시가 의문시된다. 왜 나 오는 경우가 많아질 물막이 벽은 비록 출되다. 왜냐하면 생겨 침출수가 흘러나가 많아질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새로운 한 조사에 따르면 진흙 비록 침출수가 새지는 않지만 여러 가지의 화학물질들이 확산 때문에
통과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 오염의 또 다른 원인은 여러 가지 용도의 지하수 저장 탱크다. 일례로 | 저장된 140,000개의 휘발유 탱크 중 70,000~100,000개가 누출되고 이는 업체의 경우 화학물질의 폐기 장소로 지하 우물이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
1 경적으로도 안전하다고 생각하여 이용하고 이어서 우려를 낳게 하고 이 지하수 오염의 또 서지하에 저장된 것으로 생각한다. 일부 산업체의 겸하고 환경적으로도 다. 비록 이 방법 된다고는 하지만 이 존하고 있다.
9.3.2 침출수에 의한 오염
제가 지하수로 누출되는 것 역시 중요하다. New York의 Long Island 지역 가장의 해충 방제를 위해 사용하는 농약인 aldicarb이 지하수층으로 흘러 지역의 식수원인 지하수를 오염시켰다. 오염은 물의 흐름이 대단히 느리므로 큰 문제
왜냐하면 땅윗물과 비교하여 지하수는 오염물질의 혼합이나 확산이 거의에서는 감자의 해 들어가 그 지역의 지하수 오염은. 가 된다. 왜냐하면 물론 오염된 지 관계에 관한 연구는 지하수층이 이지 않기 때문이다.
지하수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특정 질환과의 정확한 상관 이 대한 연구 결과는 없으나 Massachusetts주 Woburn에서는 마시는 물을 공급할 - 층이 삼염화에틸렌 혹은 사염화에틸렌으로 오염된 경우에 관한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보고서에 의하면 어린이 백혈병, 장애아 출생, 면역능력 억제로 인한 폐와 신장 질환 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9.4 대기오염물질로 인한 수질오염
대기 오염물질은 크게 분류하여 산도를 바꿔 주는 오염물질, 영양물질, 독성물질 증세 종류가 있다.
9.4.1 산 침전물
석탄 연소 시에 나오는 아황산가스는 대기에서 황산으로 변화한다. 이렇게 형성된 황산은 바람에 의해 여러 지역으로 운반되고 결국 비나 눈으로 지상에 되돌아온다. 미국 동부지역 황산 침전물 중 1/3은 배출원으로부터 300마일 떨어진 지점에서, 또 다른 1/3은 120~300마일 떨어진 지점에서, 나머지 1/3은 120마일 이내에서 이동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36). EPA가 조사한 1993년도 미국 내 각 산업체에서 배출한 아황산가스 양은 다음과 같다(표 9.7). | 질소 산화물 역시 질산과 아질산 침전물의 원인이 된다. 비록 자동차가 전체 질소 산화물 배출의 절반을 차지하지만 의하여 발생하는 질소 산화물은 지표면에서 발생하며 또 먼 거리로 이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원인에 의한 산성 침전물보다 중요하지는 않다.
(1) 담수에 대한 영향 산성 침전물은 호수와 강 그리고 토양의 pH를 낮춘다. Nova Scotia의 13개 강이 최소한 1 호수 그리고 New England와 New York 북부 지역들은 높은 산도로 인하여 물고기가 거의 사라졌다.
너 도와 산성비의 문제는 정치적으로 가장 큰 고민거리였다. 레이건 행정부는 아황산가스의 방출이 환경에 손상을 준다는 관련 증거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규제를 강요하기 전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반면에 양 구경에 있는 대다수 나라의 과학계에서는 아황산가스 방출과 환경 파괴의 사고 과에는 이미 잘 정립된 사실이라는 캐나다의 주장을 지지하고 있다.
Fantoha에 있는 한 민물 연구소는 Ontario의 작은 호수를 대상으로 8년 동안
젓기로 산성화시키는 연구 원래의 호수 pH를 6.5에서 5.0 이하로 감소시키는 연구를 수행한 결과 pH가 5.9일 때 작은 새우 종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돼 on 다른 갑각류는 완전히 사라졌고 그 외에도 피라 미류들의 생식 기능이 정 지리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 pH가 5.4가 되면 모든 물고기의 생식 기능이 정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산림과 토양에 대한 영향
사서 비는 삼림 파괴와도 관련이 있지만 명확한 인과 관계가 설정되어 있지는 않다. 보통 오염되지 않은 비의 pH는 5.6으로서 토양은 이를 중화할 능력이 있다. 그리나 E양의 이러한 완충 능력도 너무나 많은 산이 침적될 때는 부족할지도
다. 도일, 체코슬로바키아, 스칸디나비아, 미국 동부 지역 등지에서는 산성비 노출이 예상되었던 지역의 나무들이 현저하게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 비는 토양 중의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을 유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네로 이러한 유출로 인하여 양이온이 일시적으로 증가하지만 씻겨져 내려가 때문에 결국에는 토양의 영양분 결핍 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아울러 광물에서 도의 알루미늄이 유출되어 식물에 독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산성화된 토양에
L 가수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등은 결핍되고 용돈 알루미늄, 망간, 철 그리고 다른 중금속 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몸속에 용해된 알루미늄은 물고기 아가미에 침적되고 호흡을 방해하는 선으 나타낸다. 또한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9.4.2 대기 내 영양물질
미국 내 환경 보호 기금 마련 단체에서는 대기 중 질산 침적물이 Chesapeake만의 부영양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 Chesapeake만은 세계에서 조수간만의 차가 가장 클 뿐만 아니라 굴, 게, 해조류 등의 주요 어장으로서 매우 귀중한 경제적·생태학적 보고이다. 그러나 Chesapeake만 수질은 지난 30년 동안에 놀랄 만한 속도로 악화했으며 최근 수년 동안 더욱 악화하고 있다. 수질 악화의 주된 요인 중 하나는 BOD 오염물질과 영양물질에 의한 오염 때문이다. 지난 수년 동안 농경지에서 나온 유출수, 폐기물 처리 시설과 산업 시설에서 나온 폐수 등을 Chesapeake만을 오염시키는 원인 물질이라 생각해 왔다. 그러나 사실은 영양물질로 인한 Chesapeake만 오염 현상은 대기 내 질산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1984년도 Chesapeake만의 유역에 질소 농도를 증가시키는 여러 원인을 살펴보았다(표 9.8).
비록 이 연구가 Chesapeake 만에 국한된 것이지만 또 다른 수계에서도 대기 중 질소나 암모니아가 침착되는 비슷한 상황이 관찰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NOx의 반출이 증가할 것이고 그로 인해 대기에 의한 NOx의 이동과 질산의 침착은 특히 주목받게 될 것이다.
9.4.3 대기에 의한 독성물질의 이동
아황산가스뿐만 아니라 NOx, 다른 화학물질들(어떤 것은 독성을 나타냄)과 수많은 금속 등은 바람에 의해 대기로 운반되어 비나 눈으로 지상에 다시 낙하하여 토양과 물을 오염시킨다.
대기에 의한 오염물질의 이동에 관한 가장 단적인 예는 1982년 Isle Royale 공원 내 Superior 호수 물고기에서 toxaphene이라는 농약이 발견된 경우를 들 수가 있다. Isle Royale 은 오염되지 않은 야생의 상태로 잘 유지된 국립공원으로서 그곳에는 산업 시설, 경작지 그리고 주거지가 없으므로 오염물질의 유입은 대기에 의한 이동이 아니고서는 설명할 수 없다.
현재 Superior 호수에서 발견되는 독성 물질의 절반 이상이 대기로부터 옮겨 온 것이라는 확실한 징후가 나타난다. Michigan과 Huron의 호수들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오염물질들은 아마 수백 마일 이상 떨어진 곳에서 왔을 수도 있다. 왜냐하면 오래전에 사용이 금지된 DDT와 같은 물질들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현재 DDT는 라틴 아메리카에서만 사용하고 있다.
토양과 물에서 화학물질이 증발하는 것은 화학물질의 물리 화학적 특성뿐만 안 나라 외부 인자들에 의해서도 좌우된다. 외부 인자로서는 온도, 토양의 종류, 토양 함수율, 증발 면에서의 풍속 등이 있다. 여기서 화학물질의 수용성이 낮을수록 그고 증기압이 높을수록 잘 증발한다. 또한 얼마나 잘 일어나는 가도 중요한 요인이 된다. 대기에 의해 수송되는 오염물질의 또 다른 배출원은 도시 폐기물 소각(납, 카드뮴, 수은의 배출원), 개폐식 석호 법을 이용한 독성 물질 처리, 폐수 찌꺼기 소각 혹은 토양 처분, 목재 소각 등이 있다.
지구적 관점에서 대기에 의한 오염물질 이동의 또 다른 문제점은 해양에서 시행하는 독성 물질의 소각이다. 이 방법은 1969년도에 서독의 거대한 화공 회사가 독성 폐기물을 소각하기 위하여 특별한 배를 건조함으로써 처음으로 소개되었는 데 그 당시 해양에 독성 폐기물을 그대로 투기하는 방법보다 나은 대안으로써 마련된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 기술의 매력은 독성 폐기물을 주거지 근처에서 소각함으로써 빚어지는 주민 단체의 반대를 무마하기 위한 정치적인 활동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빗대어 말하면 물고기는 투표권이 없기 때문이다.
불완전 연소 혹은 연소 과정 중에 형성되는 오염물질은 북해와 Atlantic 동쪽 해양 생물에 심각한 피해를 유발한다. 몇몇 보고서에 의하면 1988년 북해에서 일어난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수많은 바다표범이 죽은 사건도 바다표범의 면역 체계에 영향을 주는 화학물질이 해양을 오염시킨 결과인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에서는 EPA의 허가를 받아 1974년부터 멕시코만에서 유해 폐기물의 소각을 시작하였으나 1983년에 여론에 밀려 중단하였다.
동유럽의 경우 철의 장막이 무너지자 서방세계는 45년간 무차별적으로 환경을 오염시킨 좋은 예를 그곳에서 관찰할 수 있게 되었다. 총체적으로 환경오염을 방치한 결과는 한마디로 오염된 공기, 건강하지 못한 인간, 죽은 호수와 강, 파괴된 삼림과 토양 등으로 표현될 만큼 소름 끼치는 정도였다. 이것은 단기적인 경제적 이익을 위하여 환경보호를 등한시하면 어떠한 일이 일어나는지를 보여 주는 일종의 경고이다. 아울러 산성비가 강, 삼림, 호수를 파괴한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이것은 실제적인 공부가 될 것이다.
제 3 장 혐기처리의 환경요소 영향 (0) | 2021.07.21 |
---|---|
핵에너지와 핵연료의 특성 (0) | 2021.07.17 |
산업폐기물에 의한 수질오염의 대표적 사례 (0) | 2021.07.16 |
독성물질의 투여방법 (0) | 2021.07.08 |
남성 생식계와 독성발생 (0) | 2021.07.08 |
댓글 영역